섬산련, 2025 DATA·AI 활용지수를 높여라
AI 에이전트 시대, 데이터 기반 트렌드 강조
기획-생산-유통 밸류체인에서 DATA·AI 솔루션 제안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최병오, 이하 섬산련)가 2025 AI에이전트 시대에 DATA·AI 활용도가 개인 및 기업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섬산련은 지난 12월 17일 “2025 데이터기반 트렌드 & 섬유패션 DATA·AI 활용전략 세미나”를 개최하고 데이터와 AI로 그리는 섬유패션의 미래 비전을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세아상역, 더네이처홀딩스, 신성통상, 코오롱FnC, 파크랜드 등 200여명의 업계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시장 상황 속에서 섬유패션인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섬산련은 데이터와 AI 기술의 발전 동향과 기업의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2025년 S/S 데이터 기반 패션 및 소비자 트렌드에 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 AI 에이전트시대, 비즈니스·데이터·기술·거버넌스 종합 계획이 필수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
‘데이터·AI 활용 전략’을 주제로 데이터와 생성형 AI 분야 국내 대표기업인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의 기조 강연과 삼정KPMG AI센터 이동근 전무의 기업 혁신 사례 발표가 있었다.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는 AI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변곡점에 있는 산업 전반의 변화를 언급하며, 2025년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 AI의 활용 능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AI 에이전트 시대’임을 강조했다.
뒤이어 삼정KPMG 이동근 전무는 전 산업 분야의 데이터 혁신 사례와 업계의 AI 기술 도입 사례를 소개하며 기업들의 성공적인 AI 도입과 운영을 위해서는 비즈니스, 데이터, 기술, 거버넌스 측면의 종합적인 계획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2025, 맥시멀 키워드와 화려한 컬러감 데이터기반 예측
2025 데이터기반 트렌드&섬유패션 DATA·AI 활용전략 세미나
섬산련은 상품의 기획 및 디자인에 있어 데이터 기반 시장 수요를 예측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두번째 세션의 연사로 나선 트렌드 정보 그룹 PFIN 유수진 대표는 2025 S/S 여성복·남성복 런웨이 컬렉션의 핵심 스타일을 요약하여 설명했다. 2025 F/W 트렌드로 디자인, 디테일 등 모든 분야의 맥시멀을 키워드로 예측하고, 이에 따라 화려하고 선명한 색감이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했다.
미닝시프트 이현주 대표는 2025 소비트렌드를 전략적 소비, 초개인화 터치, 건강 트래커, 커뮤니티 퍼스트 4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 특히, 높은 물가와 고금리로 위기를 체감하는 소비자들이 전략적 소비를 지향하고, 소비의 가치는 개인화에 맞춰질 것으로 예상했다.
섬산련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과 함께 데이터와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섬유패션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섬산련은 기업들이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업계의 디지털 기술 문턱을 낮추고, 수요 예측과 반응생산 등 풀어나가야 할 과제에 해답을 찾는 데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스튜디오랩, 스타일메이트 등 DATA·AI 기반 솔루션 공개
12월 17일 패션테크기업 오픈데모데이
섬산련은 AI 에이전트 시대에 대한 인사이트 제공에 이어 17일 오후에는 실제 섬유패션 기업의 DATA·AI 활용 지수를 높일 수 있는 테크기업의 솔루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패션테크기업 오픈 데모데이’를 통해 소개된 기업은 스튜디오랩, 글로잉, 바인드, 스타일메이트 4곳이다. 이들 기업은 데이터·AI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패션 상품의 기획-생산-유통 전반에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도와줄 혁신적 솔루션을 제안하며 섬유패션업계와 동반 성장을 통한 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했다.
CES 혁신상을 2년 연속 수상한 스튜디오랩의 강성훈 대표는 상세페이지 자동 생성 AI 및 사진촬영 자동화 기술을 소개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타일메이트 한상희 대표
글로잉 김나연 대표는 K패션의 재고 의류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AI 기반 글로벌 유통서비스를 소개하여 재고 문제 해결의 혁신 방안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강조했다.
바인드 김시화 대표는 패션분야에서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4050 남성 소비자를 타겟으로 한 맞춤형 패션 큐레이션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소비 패턴 분석과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였다.
마지막 강사로 나선 스타일메이트 한상희 대표는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활용한 AI 트렌드 분석 및 글로벌 진출 지원 서비스를 발표하며, 패션기업의 온라인 마케팅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공개했다.
# DX MADE, 제조 혁신을 위한 DATA·AI 솔루션은?
제조 DX 이슈 매거진 DX MADE VOL.03 _ D.N.A.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DX MADE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섬산련은 디자인, 기획, 유통뿐만 아니라 제조 프로세스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데이터, AI 활용도 강조했다.
[섬유산업 지능형 마이크로팩토리 제조 플랫폼 실증기반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한 DX MADE 3호에서는 D.N.A._Data, Network, AI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18일 발간한 DX MADE 3호는 제조 기업들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을 활용한 우수 사례를 소개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제조 프로세스의 효율성 및 정확도를 높이거나, 품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AI 기술 활용, 수요 예측에 기반한 제조 프로세스 구축 등의 우수 사례를 소개하는 내용을 담았다.
글로벌 기업 사례로 기획, 디자인 단계부터 마케팅, 유통까지 AI 기술을 탑재해 정확도를 높이고 있는 센트릭소프트웨어코리아의 솔루션을 소개했고, 제조 솔루션 기업으로 SMARTEX, 포원시스템, SIJE의 선진 테크 기술을 공유했다. 또 빅데이터 및 AI 기술 활용도를 높여 제조 혁신을 이루고 있는 우수 사례 기업으로는 호전실업, 대한방직의 사례를 소개했다.
섬산련은 지금은 섬유패션산업이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며, 2025년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하고, 패션산업 종사자 간의 협력의 장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황연희 에디터 yuni@dito.fashion
섬산련, 2025 DATA·AI 활용지수를 높여라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최병오, 이하 섬산련)가 2025 AI에이전트 시대에 DATA·AI 활용도가 개인 및 기업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섬산련은 지난 12월 17일 “2025 데이터기반 트렌드 & 섬유패션 DATA·AI 활용전략 세미나”를 개최하고 데이터와 AI로 그리는 섬유패션의 미래 비전을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세아상역, 더네이처홀딩스, 신성통상, 코오롱FnC, 파크랜드 등 200여명의 업계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시장 상황 속에서 섬유패션인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섬산련은 데이터와 AI 기술의 발전 동향과 기업의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2025년 S/S 데이터 기반 패션 및 소비자 트렌드에 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 AI 에이전트시대, 비즈니스·데이터·기술·거버넌스 종합 계획이 필수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
‘데이터·AI 활용 전략’을 주제로 데이터와 생성형 AI 분야 국내 대표기업인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의 기조 강연과 삼정KPMG AI센터 이동근 전무의 기업 혁신 사례 발표가 있었다.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는 AI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변곡점에 있는 산업 전반의 변화를 언급하며, 2025년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 AI의 활용 능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AI 에이전트 시대’임을 강조했다.
뒤이어 삼정KPMG 이동근 전무는 전 산업 분야의 데이터 혁신 사례와 업계의 AI 기술 도입 사례를 소개하며 기업들의 성공적인 AI 도입과 운영을 위해서는 비즈니스, 데이터, 기술, 거버넌스 측면의 종합적인 계획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2025, 맥시멀 키워드와 화려한 컬러감 데이터기반 예측
2025 데이터기반 트렌드&섬유패션 DATA·AI 활용전략 세미나
섬산련은 상품의 기획 및 디자인에 있어 데이터 기반 시장 수요를 예측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두번째 세션의 연사로 나선 트렌드 정보 그룹 PFIN 유수진 대표는 2025 S/S 여성복·남성복 런웨이 컬렉션의 핵심 스타일을 요약하여 설명했다. 2025 F/W 트렌드로 디자인, 디테일 등 모든 분야의 맥시멀을 키워드로 예측하고, 이에 따라 화려하고 선명한 색감이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했다.
미닝시프트 이현주 대표는 2025 소비트렌드를 전략적 소비, 초개인화 터치, 건강 트래커, 커뮤니티 퍼스트 4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 특히, 높은 물가와 고금리로 위기를 체감하는 소비자들이 전략적 소비를 지향하고, 소비의 가치는 개인화에 맞춰질 것으로 예상했다.
섬산련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과 함께 데이터와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섬유패션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섬산련은 기업들이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업계의 디지털 기술 문턱을 낮추고, 수요 예측과 반응생산 등 풀어나가야 할 과제에 해답을 찾는 데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스튜디오랩, 스타일메이트 등 DATA·AI 기반 솔루션 공개
12월 17일 패션테크기업 오픈데모데이
섬산련은 AI 에이전트 시대에 대한 인사이트 제공에 이어 17일 오후에는 실제 섬유패션 기업의 DATA·AI 활용 지수를 높일 수 있는 테크기업의 솔루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패션테크기업 오픈 데모데이’를 통해 소개된 기업은 스튜디오랩, 글로잉, 바인드, 스타일메이트 4곳이다. 이들 기업은 데이터·AI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패션 상품의 기획-생산-유통 전반에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도와줄 혁신적 솔루션을 제안하며 섬유패션업계와 동반 성장을 통한 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했다.
CES 혁신상을 2년 연속 수상한 스튜디오랩의 강성훈 대표는 상세페이지 자동 생성 AI 및 사진촬영 자동화 기술을 소개하여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타일메이트 한상희 대표
글로잉 김나연 대표는 K패션의 재고 의류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AI 기반 글로벌 유통서비스를 소개하여 재고 문제 해결의 혁신 방안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강조했다.
바인드 김시화 대표는 패션분야에서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4050 남성 소비자를 타겟으로 한 맞춤형 패션 큐레이션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소비 패턴 분석과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였다.
마지막 강사로 나선 스타일메이트 한상희 대표는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활용한 AI 트렌드 분석 및 글로벌 진출 지원 서비스를 발표하며, 패션기업의 온라인 마케팅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공개했다.
# DX MADE, 제조 혁신을 위한 DATA·AI 솔루션은?
제조 DX 이슈 매거진 DX MADE VOL.03 _ D.N.A.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DX MADE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섬산련은 디자인, 기획, 유통뿐만 아니라 제조 프로세스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데이터, AI 활용도 강조했다.
[섬유산업 지능형 마이크로팩토리 제조 플랫폼 실증기반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한 DX MADE 3호에서는 D.N.A._Data, Network, AI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 18일 발간한 DX MADE 3호는 제조 기업들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을 활용한 우수 사례를 소개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제조 프로세스의 효율성 및 정확도를 높이거나, 품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AI 기술 활용, 수요 예측에 기반한 제조 프로세스 구축 등의 우수 사례를 소개하는 내용을 담았다.
글로벌 기업 사례로 기획, 디자인 단계부터 마케팅, 유통까지 AI 기술을 탑재해 정확도를 높이고 있는 센트릭소프트웨어코리아의 솔루션을 소개했고, 제조 솔루션 기업으로 SMARTEX, 포원시스템, SIJE의 선진 테크 기술을 공유했다. 또 빅데이터 및 AI 기술 활용도를 높여 제조 혁신을 이루고 있는 우수 사례 기업으로는 호전실업, 대한방직의 사례를 소개했다.
섬산련은 지금은 섬유패션산업이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며, 2025년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하고, 패션산업 종사자 간의 협력의 장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황연희 에디터 yuni@dito.fash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