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클, 비바테크 2025에서 글로벌 브랜드 관심 집중
“이제는 메시지가 아니라 관계다”
DPP 적용 경험이 경쟁력…‘클라이언트텔링’의 핵심 솔루션

패션 브랜드 성장 플랫폼 버클을 운영하는 매스어답션(대표 박찬우)이 유럽 최대 기술 박람회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2025’에 참가해 글로벌 리테일 시장에 필요한 기술 역량을 입증하며 실질적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지난 6월 11일부터 14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는 ‘혁신의 새로운 지평선’을 주제로 역대 최대 규모인 18만여 명이 참관했다. 버클은 특히 DPP(Digital Product Passport) 기술 기반의 고객 관리 역량과 A/S 기능을 중심으로 글로벌 브랜드와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클라이언트텔링의 중요성, 버클 DPP 기술이 해결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2025’에 참가한 '버클' 부스
유럽에서 법제화된 DPP는 제품의 생산, 유통, 수리 이력을 디지털화해 투명하게 공개하는 인증 체계다. 버클은 이미 한국 시장에서 DPP를 실제 상용해 온 경험을 기반으로 글로벌 브랜드가 국내 진출 시 요구되는 인증과 고객관리를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브랜드 성장 파트너’로 주목받았다.
또한 단순 CRM이 단순 메시지가 아닌 고객과 유대 기반 맞춤형 소통 전략인 ‘클라이언트텔링’이 글로벌 브랜드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며 버클의 기술 방향성과도 맞아떨어졌다는 평가다.
실제 비바 테크놀로지 2025에 참가한 이래관 부대표는 “많은 마케팅이 지향하는 단순 메시지, CRM이 아닌 고객과 브랜드 간의 유대관계와 꼭 필요한 정보, 맞춤화된 정보에 집중하는 ‘클라이언트텔링’이 중요하다는 것을 체감했다”라며 “한국 시장에서도 버클이 이 영역을 가장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는 자신감을 얻었다”라고 말했다.
버클 측에 따르면 프랑스 주지사,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생로랑’, ‘롤렉스’의 관계자 등이 방문해 기술 시연을 참관했다. 이들은 “기존 방식과 다르게 접근하는 버클의 기술이 매우 인상적이다”, “법제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이 아닌 실제 브랜드와 소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놀랍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 CRM, 고객 마케팅이 아닌 고객과의 대화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2025’에 참가한 '버클' 부스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기업이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서는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푸쉬성 메시지나 이메일이 주를 이룬다.
이래관 부대표는 “유럽 브랜드들은 CRM이 단순히 마케팅 도구가 아니라 브랜드와 고객이 대화를 나누는 방식인 것 같다. 구매 이력, 방문 기록, 취향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말 필요한 순간에 의미있는 정보만 전달하는 식이다”라고 말했다.
‘버클’의 구화랑 그로스 매니저 역시 “명품 브랜드들은 고객들을 위한 하이퍼케어 자체가 브랜드 경험으로 여기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제조-판매 정보에 집중하고 있는 유럽 DPP에 비교해 판매 이후 라이프사이클까지 추적 가능한 버클의 DDP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매스어답션 관계자는 “비바테크 2025는 버클이 글로벌로 나아갈 수 있는 전략적 접점을 확인한 자리였다”며 “해외 브랜드의 한국 진출, 한국 브랜드의 해외 확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리테일 CRM 인프라 역할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버클은 이미 ‘룰루레몬’, ‘헌터’, ‘아더에러’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월 단위 성과 분석, 현장 체험률, 회원 전환율, 퍼스트파티 데이터 수집률 등 핵심 지표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리테일 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해 왔다.

'버클' 등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2025’에 참가한 스타일테크팀
강인정 에디터 ditofashion@naver.com
버클, 비바테크 2025에서 글로벌 브랜드 관심 집중
패션 브랜드 성장 플랫폼 버클을 운영하는 매스어답션(대표 박찬우)이 유럽 최대 기술 박람회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2025’에 참가해 글로벌 리테일 시장에 필요한 기술 역량을 입증하며 실질적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지난 6월 11일부터 14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는 ‘혁신의 새로운 지평선’을 주제로 역대 최대 규모인 18만여 명이 참관했다. 버클은 특히 DPP(Digital Product Passport) 기술 기반의 고객 관리 역량과 A/S 기능을 중심으로 글로벌 브랜드와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클라이언트텔링의 중요성, 버클 DPP 기술이 해결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2025’에 참가한 '버클' 부스
유럽에서 법제화된 DPP는 제품의 생산, 유통, 수리 이력을 디지털화해 투명하게 공개하는 인증 체계다. 버클은 이미 한국 시장에서 DPP를 실제 상용해 온 경험을 기반으로 글로벌 브랜드가 국내 진출 시 요구되는 인증과 고객관리를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브랜드 성장 파트너’로 주목받았다.
또한 단순 CRM이 단순 메시지가 아닌 고객과 유대 기반 맞춤형 소통 전략인 ‘클라이언트텔링’이 글로벌 브랜드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며 버클의 기술 방향성과도 맞아떨어졌다는 평가다.
실제 비바 테크놀로지 2025에 참가한 이래관 부대표는 “많은 마케팅이 지향하는 단순 메시지, CRM이 아닌 고객과 브랜드 간의 유대관계와 꼭 필요한 정보, 맞춤화된 정보에 집중하는 ‘클라이언트텔링’이 중요하다는 것을 체감했다”라며 “한국 시장에서도 버클이 이 영역을 가장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는 자신감을 얻었다”라고 말했다.
버클 측에 따르면 프랑스 주지사,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생로랑’, ‘롤렉스’의 관계자 등이 방문해 기술 시연을 참관했다. 이들은 “기존 방식과 다르게 접근하는 버클의 기술이 매우 인상적이다”, “법제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이 아닌 실제 브랜드와 소비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놀랍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 CRM, 고객 마케팅이 아닌 고객과의 대화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2025’에 참가한 '버클' 부스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기업이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서는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푸쉬성 메시지나 이메일이 주를 이룬다.
이래관 부대표는 “유럽 브랜드들은 CRM이 단순히 마케팅 도구가 아니라 브랜드와 고객이 대화를 나누는 방식인 것 같다. 구매 이력, 방문 기록, 취향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말 필요한 순간에 의미있는 정보만 전달하는 식이다”라고 말했다.
‘버클’의 구화랑 그로스 매니저 역시 “명품 브랜드들은 고객들을 위한 하이퍼케어 자체가 브랜드 경험으로 여기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제조-판매 정보에 집중하고 있는 유럽 DPP에 비교해 판매 이후 라이프사이클까지 추적 가능한 버클의 DDP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매스어답션 관계자는 “비바테크 2025는 버클이 글로벌로 나아갈 수 있는 전략적 접점을 확인한 자리였다”며 “해외 브랜드의 한국 진출, 한국 브랜드의 해외 확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리테일 CRM 인프라 역할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버클은 이미 ‘룰루레몬’, ‘헌터’, ‘아더에러’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월 단위 성과 분석, 현장 체험률, 회원 전환율, 퍼스트파티 데이터 수집률 등 핵심 지표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리테일 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해 왔다.
'버클' 등 ‘비바 테크놀로지(Viva Technology) 2025’에 참가한 스타일테크팀
강인정 에디터 ditofashion@naver.com